커피이야기44 커피 플레이버에 대해 알아봅시다 커피 플레이버의 자연적 원천 커피 플레이버(flavor)에 관련된 모든 화합물들은 자연적으로 존재한다. 이런 화합물들은 자연적으로 존재한다. 이런 화합물들은 커피나무가 광합성 작용을 통해 물과 탄산가스를 당으로 전환시키면서 생성된다. 토양에 있는 무기질의 도움을 받아 커피나무는 대사 작용을 통해 씨앗에 양분을 저장하는데 이런 당분들을 사용한다. 사람들은 이런 자연 과정을 중단시키고 수확하여 건조시킨 다음 커피에 열을 가하고 분쇄하여 뜨거운 물로 화합 물질을 추출한다. 커피는 자연에 존재하는 무기, 유기 물질의 합성물들로부터 플레이버, 바디와 색깔을 갖게 된다. 커피 플레이버는 향기(aroma)와 맛(taste)을 동시에 느끼는 감각이다. 커피 향기는 로스팅된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기체 상태의 천연 화합물.. 2022. 6. 5. 올바른 에스프레소 추출조건과 우유거품에 대해 알아봅시다 올바른 에스프레소 추출의 조건 1. 커피를 충분히 받는다. 사람의 힘은 한계가 있어 탬핑을 아주 강하게 해도 약하게 했을 때와 비교하면 추출 시간에서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적정한 추출이 되기 위해선 커피를 어느 정도 충분히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커피를 받고 탬핑한 다음 바스켓 내부의 필 라인(fill line)과 커피 표면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거나 커피가 필라인 위로 올라오면 적정치 않은 양이다. 2. 적정한 분쇄를 한다. 입자가 적정하게 분쇄되지 않으면 추출이 너무 빨리 이루어지거나 늦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적정한 입자로 분쇄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탬핑 시 수평을 유지해준다. 에스프레소 추출 시 9기압의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1 제곱센티미터당 9kg의 힘이 작용한다는 의미이.. 2022. 6. 3. 에스프레소 추출과정과 크레마는 무엇일까요 에스프레소 추출과정 * 가장자리 털어주기 탬핑 완료 후 필터 홀더 가장자리에 붙어 있는 커피 가루를 손으로 털어주어 마무리한다. 이 때 입으로 불면 안되며 찌꺼기 통 위에서 해주어야 하고 스파웃(spout)에 커피 가루가 묻지 않도록 주의 한다. 5. 추출 전 물 흘리기(purging) 그룹에 장착하기 전에 추출버튼을 눌러 물을 2~3초 정도 빼준다. 추출 전에 이런 동작을 하는 이유는 샤워 스크린에 붙어 있는 찌꺼기를 제거하고 추출에 온도가 맞지 않는 추출 수를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이 작업은 포타필터를 그룹에서 분리한 후 실행해도 무방하다. 6. 포타필터 결합 8시 방향에서 삽입한 후 몸의 중심에 올 때까지 힘껏 당겨준다. 장착 시 그룹 헤드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하며 뒤쪽을 먼저 접촉시킨 후 .. 2022. 6. 2. 에스프레소 추출 방식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에스프레소 추출방식 1. 포타필터 분리/물기 제거 그룹에 장착되어 있는 포타필터를 분리한 후 커피를 받기 전에 마른 행주를 이용해 필터 바스켓의 물기를 깨끗하게 제거해준다. 두껍게 잡으면 가장자리가 잘 닦이지 않으므로 얇게 잡고 닦아준다. 2. 분쇄(grinding) 및 커피 받기(dosing) 추출 레버를 작동시켰을 때 나오는 일정량의 커피를 도즈(dose)라고 하며 커피를 포타필터에 받는 것을 도징(dosing)이라고 한다. 포타필터를 받침대(fork)에 걸어놓은 후 작동 스위치를 켜고 추출 레버를 끝까지 당기면 딸깍 소리가 나게 되면서 도저 내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량의 커피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필터 바스켓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포타필터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바스켓에 골고루 담아.. 2022. 6. 2.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