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드립이란?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 중 필터에 분쇄된 커피 가루를 담고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 드립 방식인데 커피 메이커 등의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을 오토드립, 마시는 사람이 원하는 양이 추출될 때까지 뜨거운 물을 부어 주는 방식을 매뉴얼 드립이라 한다. 그런데 매뉴얼 드립 방법이 일본에서 드립포트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핸드드립 방식으로 발전하여 우리나라에도 소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핸드드립은 드립포트와 드리퍼를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메리타(Melitta), 칼리타(Kalita) 드리퍼를 이용한 페어퍼 드립이나 융 추출방법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 에스프레소와 대칭적인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핸드드립과 에스프레소의 비교
핸드드립과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요한 추출방법은 각각 그 특성이 다르며 나름대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결국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상의 차이이다.
핸드드립과 에스프레소의 비교
핸드드립 | 에스프레소 | |
맛의 특성 | 부드럽고 깔끔한 맛 | 진하고 복합적인 맛 |
적용 | 주로 단종 커피 사용 | 주로 블랜딩 커피 사용 |
추출시간 |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림 | 신속한 추출이 가능 |
메뉴 | 메뉴가 제한 | 다양한 메뉴 제공 가능 |
기구/머신 | 가격이 저렴, 추출 기구가 다양 | 머신 가격 고가, 디자인이 다양 |
기 타 | - 추출자의 숙련도에 많이 좌우 - 개인의 취향에 맞춰줄 수 있음 |
상대적으로 커피 머신의 성능이 커피맛에 영향을 많이 줌 |
핸드드립 도구
드립포트
물을 붓는 주전자를 드립포트라고 하는데 그 모양이 일반 주전자와 다르며 핸드드립을 위한 전용 주전자를 말한다.
1. 드립포트의 구조
드립포트의 배출구가 직선형 구조로 되어 있으면 유속이 너무 빨라져 커피에 충격을 추게 되므로 거칠게 추출된다. 따라서 배출구는 S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를 학구라 부른다. 배출구가 좁을수록 물줄기가 가늘어져 컨트롤이 원활하나 물의 힘이 약해지므로 이점을 유의해서 구입해야 한다. 또한 추출구를 정면에서 봤을 때 좌우의 균형이 정확한 것을 구입해야 하며 손잡이가 편리한 것이 사용하기 좋다. 드립 포트는 직접 불에 올려놓으면 안되며 사용 후에는 물을 버리고 뒤집어 보관하는 것이 좋다.
2. 드립 포트의 선택
드립 포트 구입 시 포트의 재질, 용량, 배출구의 형태 그리고 손잡이의 모양 등 잘 살펴 선택해야 한다.
1) 재질
드립포트는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와 동, 에나멜(법랑)이 있다. 스테인리스 제품이 오래 사용해도 외관이 깨끗하며 녹이 잘 안생기고 보온성도 좋아 제품의 종류가 다양하며 가장 널리 사용된다. 동 제품은 장식적인 효과가 좋으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며 관리를 잘못하면 외관이 손상될 수 있고 녹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2) 용량
드립포트의 용량은 0.6~3.0리터까지 다양하게 있는데 용량이 크면 많은 양을 추출하는데 편리하나 사용하는데 힘이 들고 섬세한 컨트롤이 어려우며 물의 온도 조절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반면 크기가 작으면 사용하기 편하나 물 줄기의 힘이 약하고 많은 양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물을 채워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 주로 추출하는 양에 따라 드립포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3) 배출구의 형태
드립포트는 배출구가 짧은 것과 긴 것, 그리고 굵은 것과 가는 것이 있는데 드립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짧고 가는 편이 물줄기를 조절하기 편하여 배출구가 너무 긴 것은 물줄기가 항상 일정해 많은 양을 추출하기에 불편함이 따른다. 그리고 배출구 끝이 뭉툭한 형태와 날카로운 형태가 있는데 끝이 날카로울수록 물줄기를 가늘게 컨트롤하기 쉽다.
4) 손잡이의 형태
드립포트의 손잡이 형태도 사용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장시간 사용 시 손이 아플 수도 있으며 잡기에 불편하면 드립포트 컨트롤이 어려워 물줄기 조절이 잘 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드립 포트마다 손잡이의 형태가 다양한데 폐쇄형의 경우 손이 잘 안들어갈 수도 있으며 사람마다 손의 크기나 모양이 다르므로 직접 잡아보고 사용하기에 편한 것을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드리퍼
여과지를 올려놓고 분쇄된 커피를 담는 기구를 말하며 재질과 구조 그리고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형태에 따라 같은 조건의 커피를 사용하여 추출하여도 커피의 맛이 달라지므로 종류별로 그 특성을 이해해야 원활한 추출이 이루어 진다.
1. 재질에 따른 분류
드리퍼의 재질은 플라스틱이 주를 이루며 그 밖에 금속, 도기(세라믹) 등이며 최근에 유리 제품도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1) 플라스틱 드리퍼
취급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며 보온성은 다른 재질보다 조금 떨어진다.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드리퍼는 물이 통과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어 뜸이 잘 들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성형이 용이해 드리퍼 리브(RIB)가 다른 재질에 비해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다. 열에 약해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표면에 균열이 생기며 커피 얼룩이 잘 지워지지 않게 된다.
2) 도기(세라믹) 드리퍼
다른 재질보다 무거운 편으로 드리퍼에 올려놓고 사용 시 안정감이 있으며 보온성이 뛰어나다. 그런 반면 다른 재질에 비해 다루기가 불편하고 파손의 위험이 크다. 추출하기 전에 미리 물을 부어 예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금속 드리퍼
동이나 스테인리스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장식적인 효과가 뛰어난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편이다.
4) 유리드리퍼
최근 출시된 제품으로 위생적이며 제품 특성은 도기와 유사하다.
출처 all about coffee, COFFEE INSIDE
'커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추출에 대해서 공부해봅시다 (0) | 2022.05.24 |
---|---|
핸드드립을 위한 준비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5.21 |
커피보관법과 적정한 분쇄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0) | 2022.05.20 |
커피추출방식과 좋은 커피를 위한 조건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5.19 |
블렌딩과정과 주의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2.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