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이야기44

커피의 가공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커피의 가공방법 가공방식은 크게 건식법과 습식법으로 구별되는데 지역적인 여건 즉 습도, 일조량, 물 공급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되며 농장의 규모에 따라 동일한 방식이라도 차이가 있다. 풍부한 노동력을 이용하여 전통적 방식으로 처리하는 곳도 있고 현대화된 시설과 장비를 이용하여 대규모로 처리하는 곳도 있다. 따라서 처리 방식은 일률적이지 않으며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밖에 없다. 최근의 경향은 물의 소비를 최대한 줄여 환경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 기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커피의 가공과정은 방법에 따라 과정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가공 과정은 커피 품질로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가공방식에 따라 맛과 향이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건식법 건식법은 물이 부족하고 햇볕이 좋은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 2022. 6. 18.
커피의 수확과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커피의 수확 개화 Flowering 개화는 나무를 심고 2~3년 지나면 시작되는데 꽃봉오리는 개화가 자극될 때까지 2~3개월의 휴면기를 갖는다. 정상적인 꽃차례(inflorescence)는 짧은 꽃가루에 4~6개의 봉오리로 구성되어 있다. 아라비카의 경우 4~9개의 꽃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디에 4~12개의 꽃차례가 있다면 꽃의 수는 통상 16~48개가 된다는 뜻이다. 휴면기는 갑작스런 수분 스트레스(water stress)나 기온의 갑작스런 하강에 의해 깨어지게 되며 이러한 자극들은 건기가 끝나고 우기를 알리는 첫 번째 비(blossom shower)에 의해 동시에 발생되며 비가 그치고 5~12일이 지나면 개화를 하게 된다. 이 경우 강우량은 적어도 1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건기가 길수록 개화시기.. 2022. 6. 15.
커피의 재배와 생산에 대해 알아보아요 커피의 재배와 생산 번식(propagation) 커피나무를 심기 전에 재배지의 위치와 적합한 품종의 선택이 선행되어야 하며 생산성과 커피 품질 그리고 생산비용을 먼저 면밀히 검토한 후 재배할 커피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1. 번식방법 씨앗에 의한 번식이 가장 저렴하여 손쉬운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커피는 접목이나 꺾꽂이, 시험관 등의 무성 생식도 가능하다. 2. 번식 방법의 선택 아라비카종은 자가 수분을 하므로 부모의 유전 형질을 90% 이상 물려받으며 따라서 파종 번식이 가장 적절하고 저렴한 방법이며 직파보다는 묘포(nursery)에서 묘목을 기르고 어느정도 자라면 재배지에 이식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묘포에서 묘목을 기르는 방법도 씨앗을 묘판에 심은 뒤 어느 정도 자라면.. 2022. 6. 13.
커피의 그늘재배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셰이딩(그늘재배) 셰이딩(shading)은 커피 재배지의 중간중간에 커피나무가 아닌 다른 나무를 함께 심어 커피나무에 그늘을 만들어주는 것을 말한다. 커피는 원래 야생 상태에서 그늘에서 자랐으므로 그늘에 잘 적응하며 수십년 전만 하더라도 많은 농장에서 셰이딩을 활용하여 커피를 재배하였다. 이런 목적으로 심는 나무를 셰이드 트리(shade tree)라고 하며 이렇게 셰이딩을 통해 경작된 커피를 셰이드 그로운 커피(shade-grown coffee)라고 한다. 셰이딩을 하지 않고(no shade) 재배하는 커피는 선 커피(sun-grown coffee)라고 한다. 셰이딩은 수분 증발을 막아주고 주야간의 온도차를 완화시켜 주며 또한 토양침식을 막아주고 잡초의 성장을 억제해주며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 2022.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