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이야기

브라질 커피와 콜롬비아 커피의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vincent100 2022. 3. 7.

커피의 원산지별 특징

남아메리카(South America)

브라질과 콜롬비아로 대표되는 남아메리카 지역은 전체 커피 생산량의 약 45% 정도를 차지하는 최대 커피 생산지역이다. 남아메리카의 커피 재배는 1714년 자바(JAVA)에서 가자온 커피를 브라질 북쪽에 위치한 수리남에서 재배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대륙의 남쪽에 위치한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를 제외하고 모든 나라에서 커피가 생산된다. 브라질에서는 저지대의 구릉지역에서 대규모 경작에 의한 마일드한 커피가 생산되며 페루에서 콜롬비아에 이르기까지 안데스 산맥을 따라 밀도가 강하고 향이 풍부한 개성 있는 커피가 생산되고 있다. 브라질과 에콰도르를 제외하고 대부분 워시드 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주요 재배 품종은 버번, 카투라, 문도노보, 카투아이, 파카스 등이다.

브라질 Brazil

1. 개요

1723년 브라질 북부에 위치한 프랑스령 기아나를 통해 커피가 유입되어 아마존 입구의 파라 지역에 처음 심었으며 1727년 상업적 재배에 성공하였다. 전 세계 커피 생산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커피 생산국으로 브라질의 커피 작황은 커피 가격에 많은 영향을 준다. 커피의 생산지역이 광활하여 커피의 품종이나 기후조건, 토양 특성 등에 의하여 다양한 특성의 커피가 생산되고 있다. 브라질 커피는 지역에 따라 뛰;어난 품질의 커피도 많이 생산되지만 일반적으로 저지대에서 재배되며 뚜렷한 개성이 있는 커피라기 보다는 중성적인 커피라고 일컬어 지고 있다. 따라서 다른 산지의 커피와 잘 어울리며 블렌딩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커피이다. 등급을 분류하는 방법도 결점두, 맛, 크기 등 여러가지 방법을 챜택하고 있다.

2. 특성

브라질 커피의 가공법은 주로 건식 가공이며 나머지는 펄프드 내추럴 방식이므로 브라질 내추럴 그룹에 속한다. 재배품종은 아라비카는 버번, 티피카, 문도 노보, 카투아이, 카투라, 마라고지페 등으로 다양하며 생산량의 73%를 차지하고 있고 브라질의 카네포라종은 코닐론이라는 품종으로 로브스타에 비해 맛이 마일드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산량이 증가추세에 있다. 대부분 셰이딩을 하지 않고 경작하여 재배 면적은 250만ha이다. 생산지역은 남위 10~24도 사이인데 바이하, 파라나, 상파울루, 미나스 제라이스, 리우 데 자네이루, 에스피리투 산투인데 미나스 제라이스는 최대 생산지역이며 세하도 지역은 미나스 지역중 신흥 커피재배지역이다. 파라나 지역은 70~80년대까지 서리 피해가 심하였으나 재배지역은 바히아와 론도니아 지역으로 많이 이전하였으며 최근에는 서리보다 가뭄 피해가 더 심각해졌다. 개화시기는 10~12월이고 수확기는 5~9월이며 주로 스트리핑 방식으로 수확한다. 포장 단위는 60kg이다. 

3. 분류 기준

브라질은 분류를 결점두 뿐만 아니라 생두의 크기와 맛으로도 분류한다.

콜롬비아 Colmbia

1. 개요

콜롬비아에서 커피를 재배하기 시작한 시기는 1800년대 초로 알려져 있으며 콜롬비아 커피를 마일드 커피의 대명사라고 하는데 마일드 커피는 워시드 커피를 의미한다. 콜롬비아는 지리, 기후 모든것이 커피 재배에 적합하며 카페테로라고 부르는 농부들에 의해서 수확된 체리를 습식법으로 완성시킨 맛과 향이 풍부한 커피이다. 콜롬비아 커피는 세 개의 산악지역에서 생산되는데 주로 중앙 산악지대에서 생산되고 있다. 콜롬비아 커피는 F.N.C(Federation Nacional de Cafeteros de Colombia)의 관리 감독 하에 철저한 품질 검사를 통과한 커피만을 출하하며 Screen size 13 이하는 자국에서 소비하며 수출이 금지되어 있다.

2.. 특성

콜롬비아는 콜롬비아 마일드 그룹에 속하며 재배 품종은 100% 아라비카로 버번, 카투라, 티피카, 마라고지페 등이며 생산 지역은 중앙 산악 지역은 마니살레스, 아르메니아, 메델린 등이 있으며 이 세 곳이 콜롬비아 커피의 약 70%를 생산하고 있으며 첫머리를 따서 M,A,M'라고 한다. 메델린 지역의 커피는 중량감 있는 맛과 진한 향기와 균형잡힌 산도를 지니고 있으며 아르메니아와 마니잘레스 커피는 메델린 보다 형체가 가늘고 산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부 산악 지역에는 산타 마르타, 부카라망가 등이 있는데 부카라망가는 맛이 텁텁하고 신맛이 덜하며 진한 커피향을 지니고 있다. 개화시키는 연중 두 번 있는데 4월과 10월이다. 수확기도 10~2월(주수확기), 4~6월로 두 번 있다. 주 품종은 HdT와 카투라의 교배종인 콜롬비아 버라이어티, 버번, 카투라 등이며 가공은 습식 방식이고 재배고도는 800~1,900m이며 포장 단위는 70kg을 사용하고 있다. 아라비카 커피수출과 워시드 커피 생산 1위 국가이다.

3. 분류기준

콜롬비아 커피는 크게 수프레모와 엑셀소로 나누어지는데 주로 크기에 의한 분류로 맛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all about coffee, COFFEE INSIDE / 저자 : 유대준 

 

댓글